심장질환, 빈혈, 성전파성질환, 비뇨기질환, TORCH감염 [여성건강간호학] 고위험 임신, 내과적 건강문제 – 임신당뇨, 갑상선기능장애,

임신성 당뇨 1. 정의:임신의 생리적 변화에 의해서 임신 중에 발견된 것, 출산 후 회복 2. 당뇨의 영향-임산부:감염의 위험 증가(비뇨 기계 감염, 모닐리의 아성 질염)임신성 고혈압(쟈 건 정준)당뇨병성 산증(Nephropathy), 당뇨병성 신경병증, 산후 출혈, 케토 산증, 거대 아로 인한 난산, 양수 과다증-태아:거대아, 저혈당증, 고 인슐린 혈증, 죠칼슈무 혈증, 호흡 곤란증, 고 빌리루빈 혈증, 선천성 기형 3. 임신이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태반 호르몬 분비 증가:테발락토겡, 성장 호르몬-인슐린 저항성 가져오거나 →, 인슐린 요구량의 증가 → 요구량에 미치지 못하자 임신성 당뇨병 가져오-임신 시기별 인슐린 필요량 임신 1기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감소(성장 호르몬(GH)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ACTH)·갑상선 자극 호르몬(TSH)·난포 자극 호르몬(FSH)·황체 형성 호르몬(LH)·젖 분비 자극 호르몬(PRL, LTH이라고도 불린 것)의 6종류), 임산부의 칼로리 섭취는 보통 감소하기 때문에 인슐린 필요량 감소, 임신 2기 태반 호르몬 항잉슈루링 성질 때문에 인슐린 요구량 증가, 임신 3기 태반 호르몬 증가로 인슐린 요구량 현저히 증가 분만 분만 때 곤란과 신진대사의 증가로 인슐린 요구량 감소만 후 태반 호르몬 감소에 요구량 현저히 감소, 산후 감염 되면 인슐린 요구량의 증가 4. 진단이나 간호 중재·선별 검사(24~28주)의 시행:50g경구 당브하 검사 → 양성(1시간 후 혈장 내 혈당 140mh/dL, 하이 리스크 산모 130mg/dL이상)의 경우 100g경구 당브하 검사 시행:공복 혈당과 1, 2, 3시간 후 혈당 중 2개 이상 증가되면 당뇨병으로 진단, 하나만 증가했다면 32주에 재검 (공복시 혈당> = 95, 1시간 혈당 > = 180, 2시간 혈당 > = 155, 3시간 혈당 > = 140)

공복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 농도로 당뇨병 진단에 이용된다.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 100~125mg/dL 이면 공복혈당 장애로 의심하고 다른 날 재검사하여 확인한다.식후 2시간 혈당 75g, 포도당을 섭취하고 2시간 뒤 측정한 혈당 농도로 당뇨병 진단에 이용된다. 200mg/dL 이상이면 당뇨, 140~199mg/dL 뒷면 내단은 장애로 의심하고 다른 날 재검사하여 확인하는 정상치 공복혈당 정상참고치 1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정상참고치 140mg/dL 미만

  • 영양소 요구량은 비단뇨성 임산부와 동일(탄수화물 40~50%, 지방 30~35%, 단백질 20~25%), 글리세믹 지수 높은 음식 피하기, 규칙적 식사 – 필요 시 인슐린 사용(경구용 혈당경화제 금기 → 태아 기형 위험) – 규칙적인 운동 권장(고혈압성 합병증 있으면 중지)
  • 갑상선기능장애 1. 임신이 갑상선에 미치는 영향: 갑상선 과형성과 혈액공급 증가로 중증도 커짐 태반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혈청티록신 수치 상승 2. 갑상선기능항진증: 대부분 Grave’s 질병, 심계항진, 갑상선 비대, 안구 돌출, 발한, 심부전, 갑상선 위기→ 즉각적인 수액공급, 전해질 투여, 혈압조절, 항갑성제제(PTU) 최소량 투여 3. 갑상선기능저하증: 불임과 임신 초기 유산 유발을 위해 임신 중 발생,
  • 심장질환 1. 임신시 혈액량 증가로 심장부담증 2. 산전관리: 체중증가 제한(7~8kg), 고단백, 저나트륨식(2g/일), 철분보충, 카페인 제한, 감염예방(감염으로 인한 심장부담과 손상의 예방), 임신 전 처방된 강심제는 계속 복용, 필요에 따라 이뇨제(class3, 4의 경우) 투여 3. 분만 시 관리: 분만 1기에, 진통제 투여(통증의 감소로 심장부담감소), 마취, 회음절개술 등 4. 분만 후 관리: 가장 위험 출산 직후부터
  • 빈혈 1. 기준 – 임신 초기 : Hb 11g/dl, Hct 37%, 임신 중기 : Hb 10.5g/dl, Hct 35%, 임신 후기 : Hb 10g/dl, Hct 33% 2. 철분 결핍성 빈혈 : 혈장량 증가로 철농도 감소 → 감염 빈도 증가, 산후 출혈 위험성 3. 엽산 결핍성 빈혈 : 신선한 채소나 동물성 지방 섭취하지 않는 여성, 국물 임신 영향 4. 치료 : 철분/엽산 풍부한 식사, 철분 복용 시 흑색 C의 식품
  • 성전파성 질환 1. 임신 중 임질: 신생아 없는 불꽃 예방을 위해 눈에 1% 질산은이나 0.5% Erythromycin, 1% Tetracycline 연고 사용 2. 임신 중 매독: 임신 16~18주 전 대부분 방어막 역할 수행 → 20주 이후 태반통과 3. 임신 중 노무현 콘딜롬: 크기가 커지고 질분만 방해, 분만 후 크기 감소, 태아 2~4세, 후두종(from HPV) 4. 임신 중형 간염: 개념으로 산도균을 통해,
  • 비뇨기질환 1. 임신 중 생리적 소변 침체, 요관 이완, 방광요관 반사 등 발생 2. 분만 후 수개월간 지속
  • TORCH 감염 1. Toxoplasmosis, Other(Hepatitis A&B, HIV, Sypilis), Rubella, Cytome galovirus, Herpes simplex 첫 글자에 표시된 감염군에 감염된 경우 태반을 통과할 수 있으며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줄 것 2. TORCH 징후가 발견되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며 임신 12주 이내의 노출은 태아의 성장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조치가 필요하다.
  • 출처 : 퍼시픽 간호사국 시대 비개혁서 모성간호학